홈 > 전기(산업) 기사 > 전기기사
직무 분야 | 전기ㆍ전자 | 중직무분야 | 전기 | 자격 종목 | 전기기사 | 적용 기간 | 2016.1.1.〜2019.12.31.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직무내용 : 전기설비에 관한 이론을 기반으로 전기기계․기구의 선정, 전기설비의 계획, 에너지 절약기술 적용, 용량산정, 재료선정 등 설계도서 작성, 감리, 유지관리 및 운용 등 시설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 | |||||||
필기검정방법 | 객관식 | 문제수 | 100 | 시험시간 | 2시간 30분 |
필기과목명 | 문제수 | 주요항목 | 세부항목 | 세세항목 |
---|---|---|---|---|
전기자기학 | 20 | 1. 진공 중의 정전계 | 1. 정전기 및 전자유도 | 1. 정전기의 개념 |
2. 대전현상 | ||||
3. 도체와 부도체 | ||||
4. 전기량 | ||||
5. 정전유도 등 | ||||
2. 전계 | 1. 전계의 정의 | |||
2. 전계의세기 | ||||
3. 벡터와 스칼라 | ||||
4. 진공 중에 있는 점전하에 의한 전계 등 | ||||
3. 전기력선 | 1. 전기력선의 정의 | |||
2. 전기력선의 성질 | ||||
3. 전기력선의 방정식 | ||||
4. 전기력선의 밀도와 전계의 세기 등 | ||||
4. 전하 | 1. 전하의 성질 | |||
2. 검전기 | ||||
3. 쿨롱의 법칙 | ||||
4. 진공중의 유전율 등 | ||||
5. 전위 | 1. 전위 및 전위차의 정의 | |||
2. 보존장 | ||||
3. 등전위면 | ||||
4. 전위경도 | ||||
5. 푸아송 ㆍ라플라스의 방정식 등 | ||||
6. 가우스의 정리 | 1. 가우스의 정리 | |||
2. 입체각 | ||||
3. 전계의 발산정리 | ||||
4. 전기력선의 발산 등 | ||||
7. 전기쌍극자 | 1. 전기쌍극자의 정의 | |||
2. 전기쌍극자에 의한 전위 | ||||
3. 전기쌍극자에 의한 전계 | ||||
4. 전기이중층 등 | ||||
2. 진공중의 도체계 | 1. 도체계의 전하 및 전위분포 | 1. 도체계의 대전 현상 등 | ||
2. 전하 및 전위분포의 일의성 | ||||
3. 중첩의 원리 등 | ||||
2. 전위계수, 용량계수 및 유도계수 | 1. 전위계수, 용량계수 및 유도계수의 정의 | |||
2. 전위계수의 성질 및 계산 | ||||
3. 용량계수 및 유도계수의 성질 및 계산 등 | ||||
3. 도체계의 정전에너지 | 1. 도체계의 정전에너지 | |||
2. 도체면에 작용하는 힘 등 | ||||
4. 정전용량 | 1. 정전용량의 정의 | |||
2. 정전용량과 전위계수, 용량계수 및 유도계수와의 관계 | ||||
3. 콘덴서의 정의 및 접속 | ||||
4. 콘덴서에 축적된 정전에너지 | ||||
5. 등가용량 등 | ||||
5. 도체 간에 작용하는 정전력 | 1. 도체 간에 작용하는 정전력 | |||
2. 도체계가 가진 정전에너지 등 | ||||
6. 정전차폐 | 1. 정전차폐 등 | |||
3. 유전체 | 1. 분극도와 전계 | 1. 유전체의 유전율 및 비유전율 | ||
2. 전기분극 | ||||
3. 분극의 세기 등 | ||||
2. 전속밀도 | 1. 전속 | |||
2. 분극과 전속밀도 등 | ||||
3. 유전체 내의 전계 | 1. 유전체 내의 전계 | |||
2. 유전체 중의 전계와 가우스 정리 | ||||
3. 유전체의 절연파괴 등 | ||||
4. 경계조건 | 1. 두 종류의 유전체 내의 경계조건 | |||
2. 전속 및 전기력선의 굴절 | ||||
3. 유전율과 전속밀도와의 관계 등 | ||||
5. 정전용량 | 1. 유전체를 가진 도체계의 정전용량 등 | |||
6. 전계의 에너지 | 1. 유전체 내의 도체계의 에너지 | |||
2. 유전체 내의 정전 에너지 등 | ||||
7. 유전체 사이의 힘 | 1. 유전체 내의 도체 표면에 작용하는 힘 | |||
2. 유전체에 작용하는 힘 등 | ||||
8. 유전체의 특수현상 | 1. 접촉전기 | |||
2. 파이로전기 | ||||
3. 압전기 등 | ||||
4. 전계의 특수 해법 및 전류 | 1. 전기영상법 | 1. 전기영상법 | ||
2. 도체평면과 점전하 | ||||
3. 접지구형 도체와 점전하 | ||||
4. 절연구형 도체와 점전하 | ||||
5. 유전체와 점전하 | ||||
6. 평등전계 내의 유전체구 | ||||
7. 2개의 도체구 등 | ||||
2. 정전계의 2차원 문제 | 1. 2차원전계의 성질 | |||
2. 전기력선과 등전위선과의 관계 등 | ||||
3. 전류에 관련된 제현상 | 1. 전류와 전류밀도 | |||
2. 옴의 법칙 | ||||
3. 키르히호프의 법칙 | ||||
4. 중첩의 정리 | ||||
5. 상반 정리 | ||||
6. 등가 전원 정리 | ||||
7. 전력, 줄열 | ||||
8. 열전현상 | ||||
9. 전류의 화학작용 등 | ||||
4. 저항률 및 도전율 | 1. 저항률 | |||
2. 저항의 온도계수 | ||||
3. 컨덕던스 | ||||
4. 도전율 등 | ||||
5. 자계 | 1. 자석 및 자기유도 | 1. 자성체 | ||
2. 자기유도 | ||||
3. 쿨롱의 법칙 등 | ||||
2. 자계 및 자위 | 1. 자계 | |||
2. 자위 | ||||
3. 자화 | ||||
4. 자속과 자속밀도 | ||||
5. 자계에너지 등 | ||||
3. 자기쌍극자 | 1. 자기쌍극자의 자계 | |||
2. 판자석 및 등가판자석 등 | ||||
4. 자계와 전류 사이의 힘 | 1. 전류의 자기 작용 | |||
2. 비오ㆍ샤바르의 법칙 | ||||
3. 암페어의 오른손 법칙 | ||||
4. 직선 전류에 의한 자계 | ||||
5. 원형 전류 중심 축 상의 자계 | ||||
6. 솔레노이드에 의한 자계 | ||||
7. 진공 중에 있는 원형코일 중심축상의 자속밀도 | ||||
8. 벡터의 적 | ||||
9. 암페어의 주회적분 법칙 | ||||
10. 주회적분 법칙에 의한 자속 분포 계산 | ||||
11. 벡터의 회전 | ||||
12. 평행 전류 간의 작용력 | ||||
13. 자계 중의 전류에 작용하는 힘 | ||||
14. 전류에 의한 기계적 일과 기계적 동력 등 | ||||
5. 분포전류에 의한 자계 | 1. 스토크스의 정리 | |||
2. 플레밍의 법칙 | ||||
3. 로렌츠의 법칙 | ||||
4. 핀치효과 및 홀 효과 등 | ||||
6. 자성체와 자기회로 | 1. 자화의 세기 | 1. 자화작용 | ||
2. 자화의 세기 | ||||
3. 자화전류 등 | ||||
2. 자속밀도 및 자속 | 1. 자성체가 있는 자계 | |||
2. 자속분포의 법칙 | ||||
3. 벡터 포텐셜 | ||||
4. 정자계와 정전계 | ||||
5. 자극 등 | ||||
3. 투자율과 자화율 | 1. 투자율 | |||
2. 자화곡선 | ||||
3. 자화율 등 | ||||
4. 경계면의 조건 | 1. 자계의 경계면 조건 | |||
2. 자속밀도의 경계면 조건 | ||||
3. 자속선의 굴절법칙 등 | ||||
5. 감자력과 자기차폐 | 1. 감자력 | |||
2. 감자율 | ||||
3. 자기차폐 등 | ||||
6. 자계의 에너지 | 1. 자계의 에너지 밀도 등 | |||
7. 강자성체의 자화 | 1. 자화곡선 | |||
2. 히스테리시스 곡선 | ||||
3. 히스테리시스 손실 등 | ||||
8. 자기회로 | 1. 기자력 | |||
2. 투자율 | ||||
3. 자기저항 | ||||
4. 누설자속 | ||||
5. 자기회로의 옴의 법칙 | ||||
6. 자기회로의 키르히호프 법칙 | ||||
7. 공극을 가진 자기회로 | ||||
8. 포화특성 철심의 자기회로 등 | ||||
9. 영구자석 | 1. 감자력 | |||
2. 자화의 세기 | ||||
3. 보자력 | ||||
4. 자석재료 등 | ||||
7. 전자유도 및 인덕턴스 | 1. 전자유도 현상 | 1. 자속변화에 의한 기전력 발생 | ||
2. 전자유도법칙 | ||||
3. 패러데이의 법칙 | ||||
4. 와전류 | ||||
5. 표피효과 등 | ||||
2. 자기 및 상호유도작용 | 1. 자기유도작용 | |||
2. 상호유도작용 등 | ||||
3. 자계에너지와 전자유도 | 1. 자계에너지와 전자유도 등 | |||
4. 도체의 운동에 의한 기전력 | 1. 렌츠의 법칙 | |||
2.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| ||||
3. 자계 속을 운동하는 도체에 생기는 기전력 | ||||
4. 도체의 운동과 자속의 시간적 변화가 있는 경우의 기전력 등 | ||||
5. 전류에 작용하는 힘 | 1. 전류에 작용하는 힘 | |||
2. 자속변화 등 | ||||
6. 전자유도에 의한 전계 | 1. 전자유도에 의한 전계 등 | |||
7. 도체 내의 전류 분포 | 1. 일정주파수의 교류일 때 | |||
2. 표피효과 | ||||
3. 도체표면에 평행한 자계일 때 | ||||
4. 표피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한계 등 | ||||
8. 전류에 의한 자계에너지 | 1. 자계에너지 | |||
2. 전류에 의한 자계에너지 등 | ||||
9. 인덕턴스 | 1. 자기인덕턴스와 상호인덕턴스 | |||
2. 노이만의 공식 | ||||
3. 상호인덕턴스의 상반성 | ||||
4. 누설자속과 결합계수 | ||||
5. 인덕턴스의 계산 | ||||
6. 기하학적 평균거리 등 | ||||
8. 전자계 | 1. 변위전류 | 1. 변위전류 등 | ||
2. 맥스웰의 방정식 | 1. 맥스웰의 전자파방정식 | |||
2. 인가전압이 있는 경우의 전자방정식 등 | ||||
3. 전자파 및 평면파 | 1. 전자파 | |||
2. 평면파 | ||||
3. 파동방정식 | ||||
4. 전파속도 | ||||
5. 도체 내의 전자파 | ||||
6. 전자파의 방사 | ||||
7. 전자파의 반사와 굴절 | ||||
8. 전자파의 전송선로 | ||||
9. 포인팅벡터 등 | ||||
4. 경계조건 | 1. 경계면에 전류가 존재하지 않을 때 | |||
2. 완전 도체 표면 등 | ||||
5. 전자계에서의 전압 | 1. 전압의 정의 | |||
2. 평행도체에 있어서의 전압 | ||||
3. 단위 길이당 전압 강하 | ||||
4. 도체전류의 변화 등 | ||||
6. 전자와 하전입자의 운동 | 1. 전자와 하전입자의 운동 등 | |||
7. 방전현상 | 1. 방전현상 등 | |||
전력공학 | 20 | 1. 발·변전 일반 | 1. 수력발전 | 1. 수력발전의 원리와 종류 |
2. 수력학의 개요 | ||||
3. 유량과 낙차 | ||||
4. 수력설비 | ||||
5. 수차 및 부속설비 | ||||
6. 수력발전소의 전기설비와 운전 등 | ||||
2. 화력발전 | 1. 화력발전의 원리와 종류 | |||
2. 열역학의 개요 | ||||
3. 연료와 연소 | ||||
4. 보일러 및 부속장치 | ||||
5. 증기터빈과 터빈발전기 | ||||
6. 화력발전소의 전기설비와 운전 | ||||
7. 내연력 및 복합발전 등 | ||||
3. 원자력 발전 | 1. 원자력의 이론과 원자로 | |||
2. 핵연료 및 핵연료 주기 | ||||
3. 원자력 발전설비 등 | ||||
4. 신재생에너지발전 | 1. 연료전지 | |||
2. 수소에너지 | ||||
3. 석탄가스화액화 | ||||
4. 태양광 | ||||
5. 태양열 | ||||
6. 풍력 | ||||
7. 바이오에너지 | ||||
8. 폐기물에너지 | ||||
9. 지열 | ||||
10. 해양에너지 등 | ||||
5. 변전방식 및 변전설비 | 1. 변압기의 종류 | |||
2. 변압기의 결선과 운전 | ||||
3. 변압기의 손실 및 효율 | ||||
4. 조상설비 | ||||
5. 개폐장치 및 모선 | ||||
6. 보호계전방식 등 | ||||
6. 소내전원설비 및 보호계전방식 | 1. 소내전원설비 | |||
2. 보호계전방식 등 | ||||
2. 송·배전선로의 전기적 특성 | 1. 선로정수 | 1. 표피작용 및 근접효과 | ||
2. 저항, 인덕턴스, 정전용량, 누설컨덕턴스 등 | ||||
2. 전력원선도 | 1. 전력의 벡터표시 | |||
2. 전력방정식 | ||||
3. 전력원선도 및 손실원선도 | ||||
4. 전압이 변할 때의 원선도 등 | ||||
3. 코로나 현상 | 1. 코로나 현상 및 임계전압 | |||
2. 코로나 손실과 코로나에 의한 각종 장해 | ||||
3. 코로나 방지 대책 | ||||
4. 단거리 송전선로의 특성 | 1. 단거리 송전선로의 구성 | |||
2. 단거리 송전선로의 특성 등 | ||||
5. 중거리 송전선로의 특성 | 1. T회로 | |||
2. π회로 등 | ||||
6. 장거리 송전선로의 특성 | 1. 전파방정식 | |||
2. 특성임피던스와 전파정수 | ||||
3. 일반회로 정수 및 4단자 정수 | ||||
4. 위상각 | ||||
5. 등가 T회로 및 π회로 | ||||
7. 분포정전용량의 영향 | 1. 페란티 현상 | |||
2. 자기여자를 방지시키는 조건 | ||||
3. 발전기의 자기여자 등 | ||||
8. 가공전선로 및 지중전선로 | 1. 가공전선로의 구성 및 특성 | |||
2. 전선의 종류 및 선정 | ||||
3. 전선의 진동과 도약 | ||||
4. 전선의 이도 | ||||
5. 애자의 종류 및 그 특성과 강도 | ||||
6. 절연재료의 열화 | ||||
7. 지중전선로의 구성 및 특성 | ||||
8. 지중전선로의 배전방식 | ||||
9. 케이블의 종류 및 구조, 전기적 특성 | ||||
10. 케이블의 포설 방식 | ||||
11. 케이블의 고장점 탐색법 등 | ||||
3. 송·배전방식과 그 설비 및 운용 | 1. 송전방식 | 1. 직류 송전방식 | ||
2. 교류 송전방식 | ||||
3. 전압별 송전방식 및 송전전압 | ||||
4. 전력전송방식에 따른 송전방식 등 | ||||
2. 배전방식 | 1. 공급방식 | |||
2. 배전선의 구성 | ||||
3. 배전선의 형태 | ||||
4. 배전선의 전기적 특성 및 배전계획 등 | ||||
3. 중성점접지방식 | 1. 중성점접지의 목적과 종류 및 구성과 그 특성 | |||
2. 접지사고 발생에 따른 이상 전압의 발생 | ||||
3. 지락사고와 등가회로 | ||||
4. 잔류전압 등 | ||||
5. 유도장해 및 방지대책 | ||||
4. 전력계통의 구성 및 운용 | 1. 전력계통의 구성 | |||
2. 주파수제어 | ||||
3. 급전시설 | ||||
4. 계통의 운전 및 신뢰도 | ||||
5. 전력계통의 경제운용 | ||||
6. 루프운전 | ||||
7. 전력선 통신 등 | ||||
5. 고장계산과 대책 | 1. 고장계산의 필요성 | |||
2. 송전계통의 고장 | ||||
3. 계통의 고장전류와 전압분포 계산 | ||||
4. 발전기 단자에서의 고장계산 등 | ||||
4. 계통보호방식 및 설비 | 1. 이상전압과 그 방호 | 1. 이상전압의 종류 | ||
2. 내부 이상전압 | ||||
3. 외부 이상전압 | ||||
4. 진행파 | ||||
5. 이상전압의 방호 | ||||
6. 절연협조 등 | ||||
2. 전력계통의 운용과 보호 | 1. 전압조정 | |||
2. 전력손실의 경감 | ||||
3. 송·배전선로의 보수 및 시험 | ||||
4. 송·배전선로의 운용과 보호 등 | ||||
3. 전력계통의 안정도 | 1. 안정도의 개요 | |||
2. 정태안정도 및 그 해석 | ||||
3. 과도안정도 및 그 해석 | ||||
4. 동태안정도 및 그 해석 | ||||
5. 안정도의 증진 | ||||
6. 송전용량 | ||||
7. 상차각으로 표시되는 전송전력 | ||||
8. 동기기의 관성정수 | ||||
9. 직렬콘덴서 보상방법 등 | ||||
4. 차단보호방식 | 1. 차단현상 및 소호이론 | |||
2. 차단기의 책무 | ||||
3. 고속도재폐로방식 등 | ||||
5. 옥내배선 | 1. 저압 옥내배선 | 1. 옥내 배선용 재료와 기구 | ||
2. 배선공사 | ||||
3. 옥내배선의 설계 | ||||
4. 옥내배선의 시험과 검사 등 | ||||
2. 고압 옥내배선 | 1. 옥내 배선용 재료와 기구 | |||
2. 배선공사 | ||||
3. 옥내배선의 설계 | ||||
4. 옥내배선의 시험과 검사 등 | ||||
3. 수전설비 | 1. 전원설비 | |||
2. 수전설비의 기기 및 구성 | ||||
3. 예비전원설비 | ||||
4. 전력의 수용과 공급 | ||||
5. 수용설비와 공급설비 | ||||
6. 분전반 및 분기회로 등 | ||||
4. 동력설비 | 1. 동력설비 | |||
2. 동력의 운전제어 등 | ||||
6. 배전반 및 제어기기의 종류와 특성 | 1. 배전반의 종류와 배전반 운용 | 1. 배전반의 종류 | ||
2. 배전반의 구성 | ||||
3. 배전반의 운용 등 | ||||
2. 전력제어와 그 특성 | 1. 전력조류제어 | |||
2. 주파수 - 유효전력제어 | ||||
3. 전압 - 무효전력제어 등 | ||||
3. 보호계전기 및 보호계전방식 | 1. 보호계전기의 종류 및 동작원리 | |||
2. 보호계전방식의 구성 및 특성 등 | ||||
4. 조상설비 | 1. 동기조상기 | |||
2. 전력용 콘덴서 | ||||
3. 정지형 보상기 등 | ||||
5. 전압조정 | 1. 변압기에 의한 전압 조정 | |||
2. 무효전력 조정에 의한 전압조정 | ||||
3. 전압조정기에 의한 전압조정 등 | ||||
6. 원격조작 및 원격제어 | 1. 전력계통의 원격조작 | |||
2. 전력계통의 원격제어 등 | ||||
7. 개폐기류의 종류와 특성 | 1. 개폐기 | 1. 개폐기의 종류 | ||
2. 개폐기의 원리와 그 특성 등 | ||||
2. 차단기 | 1. 차단기의 종류 | |||
2. 차단시간과 차단용량 등 | ||||
3. 퓨즈 | 1. 퓨즈의 종류와 그 특성 등 | |||
4. 기타 개폐장치 | 1. 전자개폐기 | |||
2. 전력용반도체 소자 등 | ||||
전기기기 | 20 | 1. 직류기 | 1. 직류발전기의 구조 및 원리 | 1. 직류발전기의 구조 |
2. 직류발전기의 원리 등 | ||||
2. 전기자 권선법 | 1. 권선도 | |||
2. 권선의 종류 | ||||
3. 중권과 파권의 특징 등 | ||||
3. 정류 | 1. 정류작용 | |||
2. 리액턴스 전압과 정류전압 등 | ||||
4. 직류발전기의 종류와 그 특성 및 운전 | 1. 직류발전기의 종류 및 특성 | |||
2. 직류발전기의 운전 등 | ||||
5. 직류발전기의 병렬운전 | 1. 부하분담의 원리 | |||
2. 분권발전기의 병렬운전 | ||||
3. 직권발전기의 병렬운전 | ||||
4. 복권발전기의 병렬운전 등 | ||||
6. 직류전동기의 구조 및 원리 | 1. 직류전동기의 구조 및 원리 등 | |||
7. 직류전동기의 종류와 특성 | 1. 직류전동기의 종류 | |||
2. 직류전동기의 특성 등 | ||||
8. 직류전동기의 기동, 제동 및 속도제어 | 1. 기동 | |||
2. 속도제어 | ||||
3. 제동 등 | ||||
9. 직류기의 손실, 효율, 온도상승 및 정격 | 1. 손실 | |||
2. 효율 | ||||
3. 전압변동률 및 속도변동률 | ||||
4. 정격 등 | ||||
10. 직류기의 시험 | 1. 부하 시험 | |||
2. 무부하 시험 등 | ||||
2. 동기기 | 1. 동기발전기의 구조 및 원리 | 1. 동기발전기의 분류 | ||
2. 동기발전기의 구조 및 원리 등 | ||||
2. 전기자 권선법 | 1. 집중권 | |||
2. 분포권 | ||||
3. 기타 권선법 등 | ||||
3. 동기발전기의 특성 | 1. 무부하포화곡선 | |||
2. 전기자반작용 | ||||
3. 동기임피던스 | ||||
4. 기타 관련사항 등 | ||||
4. 단락현상 | 1. 단락현상에 관한사항 등 | |||
5. 여자장치와 전압조정 | 1. 여자장치 | |||
2. 전압조정 등 | ||||
6.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| 1.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 | |||
2. 병렬운전의 활용 등 | ||||
7. 동기전동기 특성 및 용도 | 1. 동기전동기의 원리 | |||
2. 동기전동기의 출력 및 토크 | ||||
3. 위상특성곡선 | ||||
4. 동기전동기의 전기자 반작용 등 | ||||
8. 동기조상기 | 1. 동기조상기에 관련된 사항 등 | |||
9. 동기기의 손실, 효율, 온도상승 및 정격 | 1. 손실 | |||
2. 효율 | ||||
3. 온도상승 | ||||
4. 정격 등 | ||||
10. 특수 동기기 | 1. 유도동기전동기 | |||
2. 초동기발전기 | ||||
3. 반동전동기 등 | ||||
3. 전력변환기 | 1. 정류용 반도체 소자 | 1. 다이오드 | ||
2. 사이리스터 | ||||
3. 파워트랜지스터 | ||||
4. GTO | ||||
5. 트라이액 | ||||
6. IGBT | ||||
7. MOSFET 등 | ||||
2. 각 정류회로의 특성 | 1. 반파정류회로 | |||
2. 전파정류회로 | ||||
3. 브리지정류회로 | ||||
4. 배전압정류회로 등 | ||||
3. 제어정류기 | 1. 직류전력변환기 | |||
2. 교류전력변환기 등 | ||||
4. 변압기 | 1. 변압기의 구조 및 원리 | 1. 변압기의 자기회로 | ||
2. 변압기의 동작원리 | ||||
3. 변압기의 권선법 | ||||
4. 변압기의 구조 등 | ||||
2. 변압기의 등가회로 | 1. 변압기 등가회로에 관련된 사항 | |||
2. 2차를 1차로 환산 | ||||
3. 1차를 2차로 환산 | ||||
4. 변압기의 벡터도 등 | ||||
3. 전압강하 및 전압변동률 | 1. 전압변동률의 계산 | |||
2. 전압강하 등 | ||||
4. 변압기의 3상 결선 | 1. 변압기의 극성 | |||
2. 단상변압기의 3상 결선 | ||||
3. 특수변압기의 3상 결선 등 | ||||
5. 상수의 변환 | 1. 2상과 3상 | |||
2. 3상과 6상 등 | ||||
6. 변압기의 병렬운전 | 1. 병렬운전 가능한 결선 | |||
2.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 등 | ||||
7. 변압기의 종류 및 그 특성 | 1. 변압기의 종류 | |||
2. 변압기의 정격 등 | ||||
8. 변압기의 손실, 효율, 온도상승 및 정격 | 1. 손실 | |||
2. 효율 | ||||
3. 온도상승 | ||||
4. 정격 등 | ||||
9. 변압기의 시험 및 보수 | 1. 시험의 종류 | |||
2. 시험항목 | ||||
3. 보수 등 | ||||
10. 계기용변성기 | 1. PT | |||
2. CT | ||||
3. MOF | ||||
4. GPT | ||||
5. ZCT 등 | ||||
11. 특수변압기 | 1. 3권선변압기 | |||
2. 단권변압기 | ||||
3. 누설변압기 등 | ||||
5. 유도전동기 | 1. 유도전동기의 구조 및 원리 | 1. 유도전동기의 회전 원리 | ||
2. 회전자기장 발생 | ||||
3. 3상유도전동기의 구조 등 | ||||
2. 유도전동기의 등가회로 및 특성 | 1. 유도전동기의 특성 | |||
2. 벡터도 | ||||
3. 등가회로 등 | ||||
3. 유도전동기의 기동 및 제동 | 1. 전전압 기동법 | |||
2. 스타 델타 기동법 | ||||
3. 기동보상기법 | ||||
4. 리액터 기동법 | ||||
5. 소프트스타터 기동법 | ||||
6. 기계적 제동 | ||||
7. 전기적 제동 등 | ||||
4. 유도전동기제어 | 1. 주파수에 의한 제어 | |||
2. 극수에 의한 제어 | ||||
3. 권선형전동기의 제어 등 | ||||
5. 특수 농형유도전동기 | 1. 2중 농형유도전동기 | |||
2. 디프슬롯형 농형유도전동기 등 | ||||
6. 특수유도기 | 1. 특수 농형3상유도전동기 | |||
2. 유도발전기 | ||||
3. 특성과 용도 등 | ||||
7. 단상유도전동기 | 1. 원리 | |||
2. 분상기동형 | ||||
3. 반발기동형 | ||||
4. 콘덴서기동형 등 | ||||
8. 유도전동기의 시험 | 1. 무부하시험 | |||
2. 구속시험 등 | ||||
9. 원선도 | 1. 1차전류의 궤적 | |||
2. 1차입력 | ||||
3. 토크의 출력 | ||||
4. 슬립 및 효율 등 | ||||
6. 교류정류자기 | 1. 교류정류자기의 종류, 구조 및 원리 | 1. 종류 | ||
2. 구조 | ||||
3. 원리 등 | ||||
2.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 | 1. 개요 | |||
2. 벡터도 | ||||
3. 특성 | ||||
4. 원리 등 | ||||
3. 단상반발 전동기 | 1. 개요 | |||
2. 특성 | ||||
3. 종류 등 | ||||
4. 단상분권 전동기 | 1. 개요 | |||
2. 특성 | ||||
3. 종류 등 | ||||
5. 3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 | 1. 개요 | |||
2. 종류 | ||||
3. 구조 | ||||
4. 벡터도 등 | ||||
6. 3상 분권 정류자 전동기 | 1. 개요 | |||
2. 종류 | ||||
3. 구조 | ||||
4. 벡터도 등 | ||||
7. 정류자형 주파수 변환기 | 1. 속도 | |||
2. 운전 등 | ||||
7. 제어용 기기 및 보호기기 | 1. 제어기기의 종류 | 1. 종류 등 | ||
2. 제어기기의 구조 및 원리 | 1. 구조 | |||
2. 동작원리 등 | ||||
3. 제어기기의 특성 및 시험 | 1. 특성 | |||
2. 시험 등 | ||||
4. 보호기기의 종류 | 1. 종류 등 | |||
5. 보호기기의 구조 및 원리 | 1. 구조 | |||
2. 동작원리 등 | ||||
6. 보호기기의 특성 및 시험 | 1. 특성 | |||
2. 시험 등 | ||||
7. 제어장치 및 보호장치 | 1. 제어장치 | |||
2. 보호장치 등 | ||||
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| 20 | 1. 회로이론 | 1. 전기회로의 기초 | 1. 전기회로의 기본 개념 |
2. 전압과 전류의 기준방향 | ||||
3. 전원 등 | ||||
2. 직류회로 | 1. 전류 및 옴의 법칙 | |||
2. 도체의 고유저항 및 온도에 의한 저항 | ||||
3. 저항의 접속 | ||||
4. 키르히호프의 법칙 | ||||
5. 전지의 접속 및 줄열과 전력 | ||||
6. 브리지 평형 등 | ||||
3. 정현파 교류 | 1. 정현파형 | |||
2. 주기와 주파수 | ||||
3. 평균값과 실효값 | ||||
4. 파고율과 파형률 | ||||
5. 위상차 | ||||
6. 회전벡터와 정지벡터 등 | ||||
4. 왜형파교류 | 1. 비정현파의 푸리에급수에 의한 전개 | |||
2. 푸리에급수의 계수 | ||||
3. 비정현파의 대칭 | ||||
4. 비정현파의 실효값 | ||||
5. 비정현파의 임피던스 등 | ||||
5. 다상교류 | 1. 대칭n상교류 및 평형3상 회로 | |||
2. 선간전압과 상전압 | ||||
3. 평형부하의 경우 성형전류와 환상전류와의 관계 | ||||
4. 2π/n씩 위상차를 가진 대칭n상 기전력의 기호표시법 | ||||
5. 3상Y결선 부하인 경우 | ||||
6. 3상△결선의 각부 전압, 전류 | ||||
7 다상교류의 전력 | ||||
8. 3상교류의 복소수에 의한 표시 | ||||
9. △-Y의 결선 변환 | ||||
10. 평형3상회로의 전력 등 | ||||
6. 대칭좌표법 | 1. 대칭좌표법 | |||
2. 불평형률 | ||||
3. 3상 교류기기의 기본식 | ||||
4. 대칭분에 의한 전력표시 등 | ||||
7. 4단자 및 2단자 | 1. 4단자 파라미터 | |||
2. 4단자 회로망의 각종 접속 | ||||
3. 대표적인 4단자망의 정수 | ||||
4. 반복파라미터 및 영상파라미터 | ||||
5. 역회로 및 정저항회로 | ||||
6. 리액턴스 2단자망 등 | ||||
8. 분포정수회로 | 1. 기본식과 특성임피던스 | |||
2. 무한장선로 | ||||
3. 무손실 선로와 무왜형 선로 | ||||
4. 일반의 유한장선로 | ||||
5. 반사계수 | ||||
6. 무손실 유한장회로와 공진 등 | ||||
9. 라플라스변환 | 1.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| |||
2. 간단한 함수의 변환 | ||||
3. 기본정리 | ||||
4. 라플라스 변환 등 | ||||
10. 회로의 전달 함수 | 1. 전달함수의 정의 | |||
2. 기본적 요소의 전달함수 등 | ||||
11. 과도현상 | 1. R-L직렬의 직류회로 | |||
2. R-C직렬의 직류회로 | ||||
3. R-L병렬의 직류회로 | ||||
4. R-L-C 직렬의 직류회로 | ||||
5. R-L-C 직렬의 교류회로 | ||||
6. 시정수와 상승시간 | ||||
7. 미분적분회로 등 | ||||
2. 제어공학 | 1. 자동제어계의 요소 및 구성 | 1. 제어계의 종류 | ||
2. 제어계의 구성과 자동제어의 용어 | ||||
3. 자동제어계의 분류 등 | ||||
2. 블록선도와 신호흐름 선도 | 1. 블록선도의 개요 | |||
2. 궤환제어계의 표준형 | ||||
3. 블록선도의 변환 | ||||
4. 아날로그계산기 등 | ||||
3. 상태공간해석 | 1. 상태변수의 의의 | |||
2. 상태변수와 상태방정식 | ||||
3. 선형시스템의 과도응답 등 | ||||
4. 정상오차와 주파수응답 | 1. 자동제어계의 정상오차 | |||
2. 과도응답과 주파수응답 | ||||
3. 주파수응답의 궤적표현 | ||||
4. 2차계에서 MP와 WP 등 | ||||
5. 안정도판별법 | 1. Routh-Hurwitz안정도판별법 | |||
2. Nyquist안정도판별법 | ||||
3. Nyquist선도로부터의 이득과 위상여유 | ||||
4. 특성방정식의 근 등 | ||||
6. 근궤적과 자동제어의 보상 | 1. 근궤적 | |||
2. 근궤적의 성질 | ||||
3. 종속보상법 | ||||
4. 지상보상의 영향 | ||||
5. 조절기의 제어동작 등 | ||||
7. 샘플값제어 | 1. sampling방법 | |||
2. Z변환법 | ||||
3. 펄스전달함수 | ||||
4. sample값 제어계의 Z변환법에 의한 해석 | ||||
5. sample값 제어계의 안정도 등 | ||||
8. 시퀀스제어 | 1. 시퀀스제어의 특징 | |||
2. 제어요소의 동작과 표현 | ||||
3. 불대수의 기본정리 | ||||
4. 논리회로 | ||||
5. 무접점회로 | ||||
6. 유접점회로 등 | ||||
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| 20 | -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(전기설비) 포함 | ||
1. 기술기준 총칙 | 1. 기술기준 총칙 및 판단기준통칙에 관한 사항 | 1. 목적 및 용어 | ||
2. 전압의 종별 | ||||
3. 고시의 적용 및 인가 등 | ||||
2. 전선 | 1. 전선의 종류 및 사용 | |||
2. 전선의 접속 등 | ||||
3. 전로의 절연 및 접지 | 1. 전로의 절연 | |||
2.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| ||||
3. 회전기, 정류기,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절연내력 | ||||
4. 기계기구 등의 전로의 절연내력 | ||||
5. 접지 및 접지공사 등 | ||||
4. 기계 및 기구 | 1. 변압기의 시설 | |||
2. 각종 기계기구의 시설에 관한 사항 | ||||
3. 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 | ||||
4. 비상용 예비전원 및 전선 이상온도 검지장치 등 | ||||
2. 전기의 발전 및 운용장소의 전기시설 | 1. 발전소 및 부대 전기시설 | 1. 발전소 및 주변 시설에 관한 사항 | ||
2. 전력운용기기의 시설 | ||||
3. 절연유 유출방지시설 | ||||
4. 발전기 등의 보호장치 시설 | ||||
5. 계측장치 시설 | ||||
6. 압축공기장치 등의 시설 등 | ||||
2. 변전소 및 부대 전기시설 | 1. 변전소 및 주변 시설에 관한 사항 | |||
2. 전력운용기기의 시설 | ||||
3. 압축공기장치 등의 시설 등 | ||||
3. 개폐소 및 부대 전기시설 | 1. 개폐소 및 주변의 시설에 관한 사항 | |||
2. 전력운용기기의 시설 | ||||
3. 압축공기장치 등의 시설 등 | ||||
4. 기타 전력운용 장소의 전기시설 및 부대전기시설 | 1. 배전반 및 조명시설 | |||
2. 전력운용기기의 시설 등 | ||||
3. 전선로 | 1. 전선로의 종류 | 1. 전선로의 종류 구분 | ||
2. 전파장해의 방지 등 | ||||
2. 가공전선의 지지물 및 분기 | 1. 가공전선 및 지지물의 시설 | |||
2. 가공전선의 분기 등 | ||||
3. 지지물 및 지선 | 1. 지지물의 종류 및 구성 등에 관한사항 | |||
2. 지선의 사용 및 시방세목에 관한사항 | ||||
3. 승탑 및 승주 | ||||
4. H형 옥외 주상설비 등 | ||||
4. 풍압하중의 종별과 그 적용 | 1. 갑종풍압하중 | |||
2. 을종풍압하중 | ||||
3. 병종풍압하중 등 | ||||
5. 지지물 기초의 안전율 | 1. 하중 | |||
2. 기초의 안전율 등 | ||||
6. 저압 및 고압의 가공전선로 | 1. 가공 약전류 전선로에의 유도 | |||
2. 저압 가공전선로 | ||||
3. 고압 가공전선로 | ||||
4. 건조물과의 접근 | ||||
5. 도로 등과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6. 가공 약전류 전선 등과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7. 안테나, 교류 전차선 등 또는 다른 시설물과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8. 가공전선 상호간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9. 가공전선과 식물의 이격거리 | ||||
10. 약전류 전선 등의 공가 등 | ||||
7. 옥측전선로, 옥상전선로, 인입선 및 연접인입선 | 1. 옥측전선로의 시설 | |||
2. 옥상전선로의 시설 및 시설 제한 | ||||
3. 인입선 등의 시설 | ||||
4. 연접인입선의 시설 등 | ||||
8. 특고압 가공전선로 | 1.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구성 및 시설 | |||
2. 가공전선의 세기 및 굵기와 안전율 | ||||
3. 가공전선과 지지물 등 사이의 이격거리 | ||||
4. 저고압 가공전선 및 전차선의 병가 | ||||
5. 가공전선과 가공약전류전선 등과의 공가 | ||||
6. 지지물에 시설하는 저압의 기계기구 등의 시설 | ||||
7. 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접근 | ||||
8. 가공전선과 도로 등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9. 가공전선과 삭도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10. 가공전선과 저고압 가공전선 등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11. 가공전선 상호간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12. 가공전선과 다른 시설물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13. 지선의 시설 | ||||
14. 가공전선이 굴뚝 등과 접촉 할 우려가 있는 경우 | ||||
15. 가공전선과 식물사이의 이격거리 등 | ||||
9. 지중전선로 | 1. 지중전선로의 시설 | |||
2. 지중함의 시설 | ||||
3. 가압장치의 시설 | ||||
4. 지중전선의 피복금속체의 접지 | ||||
5. 지중 약전류 전선에의 유도장해의 방지 | ||||
6. 지중전선과 지중 약전류 전선 등 또는 관과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7. 지중전선 상호 간의 접근 또는 교차 등 | ||||
10. 터널 내 전선로 | 1. 터널 내 전선로의 시설 | |||
2.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 내 전선로의 시설 | ||||
3. 터널 내 전선로의 전선과 약전류 전선 등 또는 관 사이의 이격거리 등 | ||||
11. 수상전선로 및 수저전선로 | 1. 수상전선로의 시설 | |||
2. 수저전선로의 시설 등 | ||||
12. 특수장소의 전선로 | 1. 지상에 시설하는 전선로 | |||
2. 교량에 시설하는 전선로 | ||||
3. 전선로 전용 교량 등에 시설 하는 전선로 | ||||
4. 옥내에 시설하는 전선로 | ||||
5. 임시 전선로의 시설 등 | ||||
4. 전력보안 통신설비 | 1. 전력보안통신설비 | 1. 전력보안 통신설비의 구성 및 시설 | ||
2. 가공전선과 첨가 통신선사이의 이격거리 | ||||
3. 가공통신선의 높이 | ||||
4. 첨가통신선의 시설 | ||||
5. 옥내 통신선의 시설 등 | ||||
2. 보안장치 | 1. 보안장치의 구성 및 시설 | |||
2. 전력선 반송 통신용 결합장치의 보안장치 등 | ||||
3. 가공통신 인입선 | 1. 가공통신 인입선의 시설 | |||
4. 통신시설의 제한 | 1. 첨가통신선의 인입제한 | |||
2. 무선용안테나 등의 시설 제한 등 | ||||
5. 전기사용 장소의 시설 | 1. 옥내의 시설 | 1. 옥내전로의 대지전압 | ||
2. 나전선의 사용 제한 및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선 | ||||
3. 기계기구 등의 시설 | ||||
4. 옥내간선 및 분기회로의 시설 | ||||
5. 저압 옥내배선의 시설장소별 공사의 종류 및 공사 | ||||
6. 저압 옥내배선과 약전류 전선 등 또는 관과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7. 전구선 및 이동전선의 시설 | ||||
8. 먼지, 가연성 가스, 위험물, 부식성가스 등이 있는 장소 또는 화약류 저장소, 흥행장 등에서의 전기시설 | ||||
9. 쇼윈도 또는 쇼케이스 안의 배선공사 | ||||
10. 승강로 내의 저압 옥내배선 | ||||
11. 옥내 방전등공사 등 | ||||
2. 옥외의 시설 | 1. 옥외 등의 인하선의 시설 | |||
2. 옥측 또는 옥외배선, 이동전선, 배선기구, 전열장치 등의 시설 | ||||
3. 옥측 또는 옥외의 방전등 공사 등 | ||||
3. 터널․갱도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의 시설 | 1. 터널 안의 배선 | |||
2. 광산 기타 갱도 안의 시설 | ||||
3. 터널 등의 배선과 약전류 전선 등 또는 관과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4. 전구선 또는 이동전선 등의 시설 | ||||
5. 배선기구 등의 시설 등 | ||||
4. 특수시설 | 1. 전기울타리의 시설 | |||
2. 유희용 전차의 시설 | ||||
3. 교통신호등의 시설 | ||||
4. 전기온돌 파이프라인 등의 전열 장치의 시설 | ||||
5. 전기온상 등의 시설 | ||||
6. 전극식 온천용 승온기의 시설 | ||||
7. 전기욕조의 시설 | ||||
8. 음이온 살균장치의 시설 | ||||
9. 풀용 수중조명등 등의 시설 | ||||
10. 비행장 등화배선의 시설 | ||||
11. 전기방식의 시설 | ||||
12. 소세력회로의 시설 | ||||
13. 출퇴표시등 회로의 시설 | ||||
14. 전기집진장치 등의 시설 | ||||
15. 아크용접장치의 시설 | ||||
16. X선 발생장치의 시설 | ||||
17. 의료실의 접지 등의 시설 | ||||
18. 임시배선의 시설 등 | ||||
6. 전기철도 등에 관한 사항 | 1. 전차선로의 사용전압 | 1. 전차선로의 사용전압 | ||
2. 전차선로의 전압의 제한 등 | ||||
2. 전파장해의 방지기술 | 1. 전파장해의 방지 | |||
2. 전파의 허용 한도 등 | ||||
3. 직류식철도 | 1. 직류식 전차선로의 구성 및 시설 | |||
2. 통신상의 유도장해 방지 시설 | ||||
3. 지구 자기 관측소 등에 대한 장해방지 | ||||
4. 가공 직류 전차선과 약전류전선 등의 혼촉에 의한 위험방지 시설 | ||||
5. 조가용선 및 장선의 접지 | ||||
6. 전차선로의 절연저항 | ||||
7. 가공 직류 절연귀선의 시설 | ||||
8. 전식방지를 위한 절연 및 이격거리 | ||||
9. 전식방지를 위한 귀선 및 귀선용 궤조의 시설 | ||||
10. 배류접속 등 | ||||
4. 교류식전기철도 | 1. 교류식 전차선로의 구성 및 시설 | |||
2. 전압 불평형에 의한 장해 방지 | ||||
3. 통신선의 유도장해 방지 시설 | ||||
4. 전차선 등과 약전류 전선 등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5. 전차선 등과 건조물 기타의 시설물과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6. 전차선 등이 굴뚝 등과 접촉 할 우려가 있는 경우 | ||||
7. 전차선 등과 식물과의 이격거리 | ||||
8. 전차선과 병행하는 금속물의 접지 등 | ||||
9. 가공 교류 절연귀선의 시설 등 | ||||
5. 강색철도 | 1. 강색차선의 구성 및 시설 | |||
2. 전차선로의 사용전압의 제한 | ||||
3. 강색차선과 가공 약전류전선 등의 접근 또는 교차 | ||||
4. 궤조 등의 시설 | ||||
5. 강색차선의 절연저항 등 |
직무 분야 | 전기ㆍ전자 | 중직무분야 | 전기 | 자격 종목 | 전기기사 | 적용 기간 | 2016.1.1.〜2019.12.31.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직무내용 : 전기설비에 관한 이론을 기반으로 전기기계․기구의 선정, 전기설비의 계획, 에너지 절약기술 적용, 용량산정, 재료선정 등 설계도서 작성, 감리, 유지관리 및 운용 등 시설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
수행준거
| |||||||
실기검정방법 | 필답형 | 시험시간 | 2시간 30분 |
실기과목명 | 주요항목 | 세부항목 | 세세항목 |
---|---|---|---|
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| 1. 전기계획 | 1. 현장조사 및 분석하기 | 1. 건축물의 용도, 부하의 위치, 규모에 따라 이에 적합한 전기설비를 계획할 수 있다. |
2. 현장의 위치를 파악하여 전력의 인입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 | |||
3. 현장의 대지특성을 분석하여 접지설비를 계획할 수 있다. | |||
4. 현장의 낙뢰빈도를 조사하여 피뢰설비를 계획할 수 있다. | |||
2. 부하용량 산정하기 | 1. 건축물의 용도, 규모에 따라 이에 적합한 부하설비용량을 추정할 수 있다. | ||
2. 수용률, 부등률, 부하율을 추정하여 최대수용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. | |||
3. 건물의 종류별 표준부하와 부분표준부하를 산출할 수 있다. | |||
4. 부하의 종류별, 규모별로 수용률을 추정할 수 있다. | |||
3. 전기실 크기 산정하기 | 1. 추정된 부하설비용량에 의하여 변전실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. | ||
2. 발전설비용량에 의한 발전실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. | |||
3. 부하설비용량에 의한 각층별, 구획별로 EPS실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. | |||
4. 중요부하설비의 UPS실과 축전지실 등의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. | |||
4. 비상전원 및 무정전 전원 산정하기 | 1. 건축물의 규모, 용도에 따라 비상전원과 무정전전원을 계획할 수 있다. | ||
2. 추정된 부하설비용량에 의하여 비상부하용량을 산정할 수 있다. | |||
3. 비상부하용량을 분석하여 무정전전원 용량을 산정할 수 있다. | |||
4. 비상전원과 무정전전원을 분석하여 축전지용량을 산정할 수 있다. | |||
5. 에너지이용기술 계획하기 | 1. 고효율 전기설비를 적용 검토할 수 있다. | ||
2. 전기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 기술을 적용 검토 할 수 있다. | |||
3. 전기에너지 부하 평준화 기술을 적용 검토할 수 있다. | |||
4. 대체 에너지 적용설비의 적정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. | |||
5. 전기 에너지 절감 효과를 반영한 에너지 수요량 분석의 적정성을 검토할 수 있다. | |||
2. 전기설계 | 1. 부하설비 설계하기 | 1. 부하설비의 공학적 구조, 원리, 구성장치, 운전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 | |
2. 조명, 전열, 전동력 설비 등의 계산을 할 수 있다. | |||
2. 수변전 설비 설계하기 | 1. 변압기의 구조, 동작원리, 종류,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 | ||
2. 수전실의 위치, 면적, 관련 규정 및 법규를 적용할 수 있다. | |||
3. 실용도별 설비 기준 적용하기 | 1. 건축물의 종류에 따른 조명설비, 각종 배선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. | ||
2. 각종 전기 기계기구를 실 용도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. | |||
4. 설계도서 작성하기 | 1. 전기 설비의 분류체계를 설명할 수 있다. | ||
2. 도면, 시방서, 공사비 내역서를 작성할 수 있다. | |||
5. 원가계산하기 | 1. 설계에 따른 자재비, 노무비, 경비를 산출할 수 있다. | ||
2. 계약의 종류 및 방법, 구성요소를 이해하고, 국가계약법 등 각종규제 사항을 활용할 수 있다. | |||
6. 에너지 절약 설계하기 | 1 수변전설비의 에너지 효율 향상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. | ||
2. 동력설비의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. | |||
3. 조명설비의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. | |||
4. 제어설비의 에너지 효율 향상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. | |||
5. 전력원단위를 고려하여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. | |||
3. 자동제어 운용 | 1. 시퀀스제어 설계하기 | 1. 스위치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접점의 특성에 따라 시퀀스제어 회로에 적용할 수 있다. | |
2. 유접점제어와 무접점제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시퀀스제어에 적용 할 수 있다. | |||
3. 릴레이와 타이머 등 제어기기의 동작원리를 알고 시퀀스 제어 회로에 적용할 수 있다. | |||
4. 제어시스템을 구성하고,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시퀀스 제어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. | |||
2. 논리회로 작성하기 | 1. 논리기호를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다. | ||
2. 제어 목적에 맞게 논리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. | |||
3. 논리회로로 구성된 제어시스템을 해석할 수 있다. | |||
4. 복잡한 논리식을 간략화 시킬 수 있다. | |||
4. 복잡한 논리식을 간략화 시킬 수 있다. | 1. 릴레이 제어방식과 PLC제어 방식의 차이점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다. | ||
2. PLC 종류와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다. | |||
3. PLC 종류에 따른 명령어를 이해하고, 동작특성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. | |||
4. PLC를 이용하여 각종 제어회로를 작성할 수 있다. | |||
4. 제어시스템 설계 운용하기 | 1. 센서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 | ||
2. 제어 대상에 적합한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. | |||
3. 센서와 구동기의 조합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. | |||
4. 제어 범위를 선정하고 제어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. | |||
5. 입출력 장치에 의하여 제어기기 및 시스템 활용을 할 수 있다. | |||
4. 전기설비 운용 | 1. 수·변전설비 운용하기 | 1. 전기 단선도를 이해하고, 기기 정격의 정확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. | |
2. 해당 기계, 기구의 매뉴얼에 따라 설치된 기기의 정상작동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. | |||
3. 보호계전기의 정정을 할 수 있고, 정상 작동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. | |||
4. 수변전설비의 도면(단선도, 장비 배치도 등)을 이해하고, 설계 도서를 검토하여 중요한 항목이 무엇인지를 도출할 수 있다. | |||
2. 예비전원설비 운용하기 | 1. 비상용 발전기의 특성을 이해하고, 정상 작동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. | ||
2. 무정전전원장치의 특성을 이해하고, 정상 작동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. | |||
3. 축전지설비의 특성을 이해하고, 정상 작동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. | |||
4. 전원설비의 도면(단선도, 기기배치도 등)을 이해하고, 설계 도서를 검토하여 중요한 항목을 도출할 수 있다. | |||
3. 전동력설비 운용하기 | 1. 전동기의 종류와 특성별 기동특성을 이해하고, 작동매뉴얼을 활용하여 절차에 따라 점검, 관리할 수 있다. | ||
2. 인버터 등의 전동기제어장치의 특성을 이해하고, 정상 작동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. | |||
3. 펌프와 팬의 특성 및 정격산정 방법을 이해하고, 작동매뉴얼을 활용하여 절차에 따라 점검, 관리할 수 있다. | |||
4. 동력설비의 도면(동력결선도 등)을 이해하고, 설계도서를 검토하여 중요한 항목을 도출할 수 있다. | |||
4. 부하설비 운용하기 | 1. 조명기기의 특성 및 설계도서를 이해하고, 작동매뉴얼을 활용하여 절차에 따라 점검, 관리할 수 있다. | ||
2. 전열설비의 특성을 이해하고, 작동매뉴얼을 활용하여 절차에 따라 점검, 관리할 수 있다. | |||
3. 승강기설비의 특성을 이해하고, 작동매뉴얼을 활용하여 절차에 따라 점검, 관리할 수 있다. | |||
4. 전기로, 대형컴퓨터 등 특수전기설비의 특성을 이해하고, 작동매뉴얼을 활용하여 절차에 따라 점검, 관리할 수 있다. | |||
5. 전기설비 유지관리 | 1. 계측기 사용법 파악하기 | 1. 각종 계측기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용도에 따른 적정계측기 선정을 할 수 있다. | |
2. 각종 계측기의 사용법을 파악할 수 있다. | |||
3. 각종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고, 이를 분석 및 활용할 수 있다. | |||
4. 각종 계측기에 대한 검․교정 주기를 파악할 수 있다. | |||
2. 수·변전기기 시험, 검사하기 | 1. 수·변전 설비의 계통을 파악할 수 있다. | ||
2. 각종 수·변전기기들의 원리 및 사용용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. | |||
3. 각종 수·변전기기 등에 대한 시험 성적서를 파악할 수 있다. | |||
4. 각종 수·변전기기 등에 대한 외관 검사 및 정밀검사 결과를 검토할 수 있다. | |||
3. 조도, 휘도 측정하기 | 1. 실 용도별 조도 및 휘도기준을 확인할 수 있다. | ||
2. 휘도와 조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사용할 수 있다. | |||
3. 조도측정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. | |||
4. 조명기구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 | |||
5. 휘도와 조도가 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다. | |||
4. 유지관리 및 계획수립하기 | 1. 수·변전설비의 주요 기기(변압기, CT, PT, MOF, CB, LA 등)의 외관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. | ||
2. 전력케이블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. | |||
3. 배전반, 분전반의 외관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. | |||
4. 예비 전원설비의 외관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. | |||
6. 감리업무 수행계획 | 1. 인허가업무 검토하기 | 1. 착공 전 공사수행과 연관된 분야의 인허가 사항과 관련 법령, 조례, 규정 등을 분석할 수 있다. | |
2. 「전력기술관리법」에 따른 감리원배치신고서를 제출할 수 있다. | |||
3. 「전기사업법」에 적합한 자가용전기설비 공사계획신고서를 검토할 수 있다. | |||
4. 전기사업자의 전기공급방안과 공사용 임시전력을 사용하기 위하여 전기수용신청을 할 수 있다. | |||
5. 소방전기설비를 시공하기 위하여 소방시설시공(변경)신고서를 검토할 수 있다. | |||
6. 전기통신설비를 시공하기 위하여 기간통신사업자와 수급지점을 협의하고 검토할 수 있다. | |||
7. 항공장애등설비를 시공하기 위하여 항공법에 따라 항공장애등 설치 신고서를 검토할 수 있다. | |||
7. 감리 여건제반조사 | 1. 설계도서 검토하기 | 1. 관련 법령에 따라 설계도서의 누락, 오류, 불분명한 부분, 문제점 등을 검토하여 설계도서 검토서를 작성할 수 있다. | |
2. 설계도서간의 상이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계도서간 불일치 사항을 검토하고 설계도서 검토서를 작성할 수 있다. | |||
3. 시방서, 부하, 장비용량 계산서 등 각종 계산서를 검토하고 설계도서 검토서를 작성할 수 있다. | |||
4. 효율적인 시공을 위하여 건축, 설비 등 타 공정간의 상호 간섭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. | |||
5. 경제적인 시공을 위하여 신기술, 신공법에 의한 공법개선과 가치공학(Value Engineering)기법을 활용한 원가절감을 검토할 수 있다. | |||
8. 감리행정업무 | 1. 착공신고서 검토하기 | 1. 공사업자가 제출한 착공신고서가 공사기간, 공사비 지급조건 등 공사계약문서에서 정한 사항과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. | |
2. 관련 법령에 따라 시공관리책임자, 안전관리자 등 현장기술자가 해당 현장에 적합하게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. | |||
3. 예정공정표가 작업 간 선행, 동시, 완료 등 공사 전·후 간의 연관성이 명시되어 작성되고, 예정 공정률이 적정하게 작성되었는지 검토할 수 있다. | |||
4. 품질관리계획이 공사 예정공정표에 따라 공사용 자재의 투입시기와 시험방법, 빈도 등이 적정하게 반영되었는지 검토할 수 있다. | |||
5. 안전관리계획이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해당 규정이 적절하게 반영되어있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. | |||
6. 공사의 규모, 성격, 특성에 맞는 장비형식이나 수량의 적정여부에 따라 작업인원과 장비 투입 계획이 수립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. | |||
9. 전기설비감리 안전관리 | 1. 안전관리계획서 검토하기 | 1. 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「산업안전보건법」과 관련 법령을 이해하고 안전관리계획서의 적정성을 검토할 수 있다. | |
2. 감리원은 전기공사의 공정에 따른 작업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재해예방대책이 안전관리계획에 반영 될 수 있도록 지도 감독할 수 있다. | |||
3. 공사업자가 재해예방을 위한 관련 법령을 이해하고, 전기공사의 안전관리계획의 사전검토, 실시확인, 평가, 자료의 기록유지를 할 수 있도록 지도 감독할 수 있다. | |||
4. 관련 기준에 따라 안전관리 예산의 편성과 집행계획에 대한 적정성 검토를 할 수 있다. | |||
2. 안전관리 지도하기 | 1. 사고예방을 위하여 안전관련 법령에서 명시하는 사항을 이행하도록 안전관리자와 공사업자를 지도감독 할 수 있다. | ||
2. 공정진행상황에 따라 안전점검과 관찰 결과와 안전관련 자료에 의하여 공사업자에게 안전을 유지하도록 지시하고 이행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. | |||
3. 현장의 안전관리자가 위험장소와 작업에 대한 안전조치를 적정하게 이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지도 감독할 수 있다. | |||
10. 전기설비감리 기성준공관리 | 1. 기성 검사하기 | 1. 공사업자로부터 기성검사원을 접수하고 기성검사를 실시한 이후 그 결과를 발주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. | |
2. 공정진행에 따른 자재의 반입, 설치, 인력의 투입, 현장시공 상태 등을 확인 후 검사처리절차에 따라 기성검사를 할 수 있다. | |||
3. 신청된 기성내역과 시공내용이 설계도서와 일치하는지 검사하여 시공기준에 부적합한 경우 기성율을 조정할 수 있다. | |||
4. 특수공종의 기성검사는 발주자와 협의하여 전문기술자가 포함된 합동 검사를 할 수 있다. | |||
2. 예비준공검사하기 | 1. 예정공사기간 내 준공가능 여부와 미진한 사항의 사전 보완을 위해 예비준공검사를 실시 할 수 있다. | ||
2. 준공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잔여공정, 품질시험, 타 공정의 진행사항 등을 고려하고 준공검사에 준하는 검사항목을 적용하여 검사할 수 있다. | |||
3. 검사 시 자재나 장비 납품업체, 공종별 시공관리책임자와 발주자의 입회하에 예비준공검사를 할 수 있다. | |||
4. 예비준공검사 결과를 설계도서, 제작승인서류 등과 비교 검토하여 보완사항이 있는 경우 조치하도록 지시하고 재검사하여 합격한 후 준공검사원을 제출할 수 있다. | |||
3. 시설물 시운전하기 | 1. 공사업자로부터 시운전 계획서를 제출받아 건축, 기계, 소방 등 시운전 유관자와 범위, 기간 등을 고려하여 검토하고 발주자에게 제출할 수 있다. | ||
2. 시운전을 위한 외관점검, 전원공급, 연료, 부품, 측정계측장비 등의 준비를 지시하고 측정기록 문서의 작성을 지도할 수 있다. | |||
3. 다른 공정과 관련된 설비는 유관자의 입회하에 가동상태, 회전방향, 소음상태 등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. | |||
4. 시운전 결과가 설계기준치에 적정한지 검토하고, 계속 사용하여야 할 시설은 부분 인수 인계를 시행하고 유지관리자가 지정되도록 조치할 수 있다. | |||
5. 시운전 완료 후 검사결과보고서를 공사업자로부터 제출받아 검토 후 발주자에게 제출할 수 있다. | |||
4. 준공검사하기 | 1. 공사업자로부터 준공검사원을 접수하고 준공검사를 실시한 이후 그 결과를 발주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. | ||
2. 공사준공에 따른 자재의 반입, 설치, 인력의 투입, 완공된 시설물 등을 확인 후 검사처리절차에 따라 준공검사를 할 수 있다. | |||
3. 특수공종의 준공검사는 발주자와 협의하여 전문기술자가 포함된 합동 검사를 할 수 있다. | |||
4. 해당 공사에 상주감리원, 공사업자와 시공관리책임자 입회하에 계약서, 설계설명서, 설계도서 그 밖의 관련 서류에 따라 준공검사를 할 수 있다. | |||
5. 공사업자가 작성 제출한 준공도면이 실제 시공된대로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하고 확 인·서명할 수 있다. | |||
6. 준공검사 시 시공기준에 부적합한 경우 보완하게 한 후, 검사절차에 의해 재검사를 할 수 있다. | |||
7. 준공검사 시에 공사업자에게 시설물 인수인계를 위한 제반도서, 서류와 예비품의 준비를 지시할 수 있다. | |||
11. 전기설비 설계감리업무 | 1. 설계감리계획서 작성하기 | 1. 설계용역 계약문서, 설계감리 과업내역서 등을 참고하여 설계감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절차와 방법 등을 포함된 설계감리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. | |
2. 설계업자로부터 착수신고서를 제출받아 설계예정공정표와 과업수행계획에 대한 적정성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. | |||
3. 설계용역계획서와 공정표에 따라 단계별 착안사항과 확인사항을 참고하여 설계감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 | |||
4. 설계대상물의 현장 적합성과 가치공학(Value Engineering) 등을 검토하여 설계단계별 경제성을 검토할 수 있다. | |||
5. 건축, 소방, 기계, 통신 등 타 공종과의 간섭관계를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하게 할 수 있다. | |||
6. 설계감리 대상물의 특징과 고려사항을 감안하여 설계내용, 예상문제점, 대책 등을 수립할 수 있다. |